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교육

축약 표현 배우기 – “뭐해요”에서 “뭐해”까지, 더 자연스러운 한국어 회화 만들기

한국어 회화에서는 길고 정중한 문장도 상황에 따라 짧고 간단하게 줄여서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친한 사람끼리 말할 때는, 길게 말하지 않고
짧고 빠르게 전달하는 **축약형 표현(줄임말)**이 훨씬 더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예를 들어,
교과서에서는 “지금 뭐 하고 있어요?”라고 배우지만,
실제로는 “지금 뭐해?”라고 말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축약 표현을 소개하고,
각 표현의 원형, 상황별 사용법, 주의할 점까지 친절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왜 축약 표현을 쓸까?

- 더 친근하게 들려요
- 빠르고 편하게 말할 수 있어요
- 감정이 더 잘 전달돼요
- ‘한국 사람처럼’ 들릴 수 있어요

한국어는 원래 종결 표현이 다양하고 문장이 길어지는 언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친한 사이에서는 문장을 줄이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자주 쓰이는 축약 표현 모음

    원래 표현                                             축약 표현                      설         명
뭐 해요? 뭐해? 가장 기본적인 줄임말 (친근한 말투)
어디 가요? 어디가? 빠르게 말하고 싶을 때
왜 그래요? 왜 그래? 감정 표현이 더 진하게 전달됨
그랬어요? 그랬어? 과거형 반말 축약 표현
괜찮아요? 괜찮아? 걱정할 때 자주 사용
보고 싶어요 보고 싶어 연인, 친구 사이 자주 사용
하지 마요 하지 마 금지 표현 줄임말
이거 뭐예요? 이거 뭐야? 친구끼리 흔히 쓰는 표현
지금 뭐 하고 있어요? 지금 뭐해? 상황 설명 없이 핵심만 전달

 

 

 

주의해야 할 점

- 축약 표현은 친한 사이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 공식적인 자리, 선생님, 상사, 처음 만난 사람 앞에서는 x

- 존댓말을 줄여 쓸 경우에는 실례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예 : “뭐해요?” → 괜찮음,  “뭐해?” → 반말

  → 상대가 나보다 나이가 많다면 “뭐해?”는 무례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 문자나 SNS에서는 축약 표현을 많이 사용하지만, 문서나 공식 이메일, 시험에서는 절대 사용하지 않습니다.

 

 

외국인을 위한 쉬운 연습법

- TV 드라마나 예능을 볼 때
  → 원래 문장이 어떻게 축약되는지 귀로 들어보고 따라 말해보기

- 친구와의 한국어 대화에서
  → “뭐해?”, “어디가?”, “밥 먹었어?” 같은 표현을 자연스럽게 섞어보기

- 처음에는 반말이 부담스럽다면
  → “뭐하세요?” → “뭐해요?” → “뭐해?” 순서로 연습하기

 
 

실생활 대화 예시

A: 지금 뭐해?
B: 그냥 있어~ 너는?
A: 나도 집이야. 나중에 밥 먹자~
B: 좋아~ 연락해줘!

A: 어디야? 영화관 앞이야?
B: 응, 여기야. 곧 도착해!
A: 알겠어~ 기다려!

 

 

마무리 – 축약 표현은 친근함의 언어입니다

축약 표현은 한국어를 ‘더 짧고, 더 부드럽고, 더 자연스럽게’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단순히 문장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 상대방과의 관계를 표현하고
- 감정을 전달하며
- 거리감을 좁혀주는 말하기 방식입니다.

외국인 학습자라면 축약 표현을 적극적으로 연습해 보세요.
조심스럽게 반말을 시도하면서,
한국어 회화가 훨씬 더 자연스럽고 편안해지는 경험을 하실 수 있을 거예요!

 

 

축약 표현 배우기 – “뭐해요”에서 “뭐해”까지, 더 자연스러운 한국어 회화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