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등

2025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 실전 신청 가이드

2025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 신청법을 PC·모바일 스크린샷 흐름으로 정리. 자격조건, 준비물, 자주 하는 실수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 목차

 1. 임의계속가입이란 무엇인가

 2. 신청 자격 & 조건 (누가 가능할까?)

 3. 준비물 체크리스트

 4. 신청 절차 (PC & 모바일 스크린샷형)

 5. 신청 후 꼭 확인할 사항

 6. 자주 실수하는 포인트

 

2025 국민연금 임의계속가입 실전 신청 가이드

 

 

1) 임의계속가입이란 무엇인가

 - 국민연금 **의무가입 종료 연령(60세)**에 도달했으나,
 - 연금 최소가입기간(120개월) 부족 → 자격이 안 되는 경우

 - 또는 더 많은 가입기간을 쌓아 연금액을 늘리고 싶은 경우
 👉 본인이 원하면 65세까지 추가 납부 가능한 제도

 

 

 

2) 신청 자격 & 조건

□  가능한 경우

  - 60세가 되었으나, 국민연금 120개월 미만 가입자

  - 이미 120개월은 채웠지만 수령액을 늘리고 싶은 사람

 

□ 불가능한 경우

  - 65세 이상

  - 60세 사유로 반환일시금 수령자

  - 이미 노령연금 수급 중인 경우

 

 

3) 준비물 체크리스트

 - 공동인증서 / 금융인증서 (PC·모바일 로그인용)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본인인증용)

 - 은행계좌 정보 (자동이체 설정 시)

 - 기존 국민연금 가입이력 확인서

 

 

4) 신청 절차 

① PC (국민연금 사이트)

1.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 상단 메뉴: [전자민원] → [개인민원] 클릭

 2. 로그인 화면 (스크린샷 예시)

  - 🔲 공동인증서 선택 → 비밀번호 입력

 3. 신청 메뉴 이동

  - [임의계속가입 신청] 버튼 클릭

 4. 기본정보 확인

  -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자동 입력 확인

 5. 신청 사유·기간 입력

  - “임의계속가입 신청” 체크

  - 납부 시작월 선택(다음 달부터 가능)

6. 제출 완료 (스크린샷: 확인 창)

  - 접수번호 확인

  - ‘나의 민원’에서 진행상황 확인 가능

 

 

② 모바일 (국민연금 앱 ‘내 곁에 국민연금’)

 1. 앱 실행 → 간편 로그인(PASS·지문·금융인증서)

 2. 메인화면 → [전자민원] 탭

 3. 메뉴 → [임의계속가입 신청]

 4. 본인정보 자동 불러오기 → 납부 시작월 입력

 5. ‘제출하기’ → 완료 알림 수신

 

 

 

5) 신청 후 꼭 확인할 사항

  📌 자동이체 등록 여부 확인 (미등록 시 연체 가능성)

 📌 첫 고지서 금액 확인 (기준소득월액 반영)

 📌 납부 시작월부터 가입기간 정상 반영되는지 “가입내역” 조회

 

 

6) 자주 실수하는 포인트

 - 반환일시금 이미 받은 경우 → 임의계속 불가

 - 신청만 하고 납부 안 함 → 기간 불인정

 - 소득과 무관하게 임의계속 가능하지만, 기준소득월액은 납부 부담과 직결 → 무리 없는 금액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