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은 사람들의 일상에서 가장 자주 오고 가는 정보 중 하나입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에게도 시간 관련 표현은 반드시 익혀야 하는 필수 회화 주제입니다.
“지금 몇 시예요?”
“수업이 몇 시에 시작해요?”
“약속 시간이 언제예요?”
이처럼 시간은 단순한 숫자 전달을 넘어서 약속, 일정, 생활 패턴을 공유하는 수단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해 시간을 묻고 대답하는 기본 표현,
숫자 읽는 법, 자연스러운 예문, 자주 쓰는 상황별 문장을 정리하여 안내합니다.
1. 시간 표현의 기초 – 시와 분
한국어로 시간을 말할 때는 **‘시(시간)’와 ‘분(분)’**이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기본 구조
지금 몇 시예요?
→ “[숫자] 시 [숫자] 분이에요.”
예시
- 3:00 → 세 시예요.
- 7:30 → 일곱 시 삼십 분이에요. 또는 일곱 시 반이에요.
- 9:15 → 아홉 시 십오 분이에요.
- 10:45 → 열한 시 십오 분 전이에요. (또는 "열 시 사십오 분")
2. 시간을 묻는 표현
시간을 물을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금 몇 시예요? | 일반적인 시간 확인 |
몇 시에 시작해요? | 수업, 모임, 행사 시간 묻기 |
몇 시까지 가야 해요? | 도착 시간 문의 |
점심은 몇 시에 먹어요? | 일상 스케줄 확인 |
지금 시간 있어요? | 상대방의 여유 확인 (다른 의미 주의) |
📌 정중하게 물을 때는 "혹시 지금 몇 시인지 알 수 있을까요?"처럼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3. 시간 대답하는 법
질문을 받았을 때는 정확한 시간 숫자와 단위를 넣어서 대답합니다.
기본 대답 패턴
- “지금 세 시예요.”
- “두 시 삼십 분입니다.”
- “열한 시 반이에요.”
- “한 시 오 분이에요.”
⏱ 한국어에서 1시 ~ 12시까지는 고유어 숫자(하나, 둘, 셋...)를 사용하며,
분에는 **한자어 숫자(일, 이, 삼...)**를 함께 사용합니다.
1시 | 한 시 |
2시 | 두 시 |
3시 | 세 시 |
4시 | 네 시 |
5시 | 다섯 시 |
6시 | 여섯 시 |
7시 | 일곱 시 |
8시 | 여덟 시 |
9시 | 아홉 시 |
10시 | 열 시 |
11시 | 열한 시 |
12시 | 열두 시 |
10분 | 십 분 |
15분 | 십오 분 |
30분 | 삼십 분 or 반 |
45분 | 사십오 분 |
4. 오전/오후 구분
한국어에서는 12시간제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오전/오후’를 함께 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시:
- 오전 9시입니다.
- 오후 3시예요.
- 지금은 오후 네 시 이십 분이에요.
📌 공식적인 안내나 공공기관에서는 24시간제도 사용됩니다.
예: "회의는 16시 30분에 시작됩니다."
5. 실생활 회화 예시
✔ 예시 1 – 길거리에서 시간 묻기
A (외국인): 실례합니다. 지금 몇 시예요?
B: 지금 오후 두 시 오 분이에요.
A: 감사합니다!
✔ 예시 2 – 수업 시간 확인
A: 한국어 수업은 몇 시에 시작해요?
B: 오후 세 시 반에 시작해요.
A: 네, 감사합니다. 늦지 않게 올게요.
✔ 예시 3 – 약속 잡기
A: 내일 몇 시에 만날까요?
B: 오전 열한 시는 어때요?
A: 좋아요. 열한 시에 뵐게요!
6. 시간 관련 추가 표현
정각 | 정확한 시각 (예: 9시 정각) |
반 | 30분 (예: 여섯 시 반) |
이따가 | 조금 있다가 (미래) |
지금 | 현재 시간 |
아까 | 조금 전 (과거) |
언제쯤 | 대략적인 시간 질문 |
늦었어요 | 시간에 늦음 |
일찍 왔어요 | 정해진 시간보다 빠름 |
7. 외국인이 자주 하는 실수
지금 두 시 분이에요 | 지금 두 시예요 | ‘분’은 분 단위가 있을 때만 사용 |
지금 두 시 삼 분입니다 | 지금 두 시 삼 분이에요 | 자연스럽게 말할 때는 ‘입니다’보단 ‘이에요’ 사용 권장 |
1시 = 일 시 | 한 시 | ‘시’는 고유어 숫자 사용 필수 |
마무리 – 시간 표현은 정확성과 예의가 중요합니다
시간을 묻고 대답하는 표현은 단순한 숫자 전달을 넘어서
상대방에 대한 배려, 정중한 표현, 상황에 맞는 말투 선택이 중요합니다.
특히 한국어에서는 숫자 읽는 법의 규칙성과 단위(시/분/오전/오후) 사용의 정확성이
문장을 더 자연스럽고 신뢰감 있게 만들어줍니다.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매일 아침 현재 시간을 말해보는 습관을 들이면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는 한국어 회화 능력이 쌓이게 됩니다.
'한국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속 유행어와 실생활 사용법 – 외국인을 위한 자연스러운 한국어 활용 가이드 (0) | 2025.04.16 |
---|---|
‘괜찮아요’, ‘좀’, ‘그냥’ 등 간접 표현 해석 – 한국어의 진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문화적 언어 읽기 (0) | 2025.04.16 |
한국인의 ‘눈치 문화’와 말투 – 문화와 언어가 함께 작동하는 한국어 이해하기 (0) | 2025.04.15 |
감정 표현 배우기 – 기쁨, 화남, 슬픔 등 감정을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말하는 법 (0) | 2025.04.15 |
날씨 관련 표현 배우기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일상 회화 필수 주제 (0) | 2025.04.15 |
병원에서 필요한 한국어 표현 정리 – 외국인을 위한 진료 상황별 회화 가이드 (0) | 2025.04.14 |
전화할 때 자주 쓰는 한국어 표현 – 외국인을 위한 실전 회화 안내 (0) | 2025.04.14 |
길 물어볼 때 쓰는 한국어 표현 – 친절하게 묻고 정확하게 듣기 (1)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