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씨 이야기는 모든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대화를 시작하는 가장 쉬운 주제’ 중 하나입니다.
한국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처음 만난 사람과 대화를 열거나 일상적인 감정을 나눌 때
“오늘 날씨 정말 좋죠?”, “비가 많이 와요.”처럼 간단한 날씨 표현이 자주 사용됩니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로, 날씨에 따라 사용하는 단어나 표현이 다양합니다.
**‘맑다’, ‘덥다’, ‘쌀쌀하다’, ‘흐리다’**와 같은 기본 표현부터
“미세먼지가 심해요”, “장마철이에요” 같은 현실적인 날씨 표현까지 알아두면,
실제 회화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날씨를 말할 수 있도록
기본 단어, 자주 쓰는 문장, 표현 패턴, 상황별 예문까지 정리하여 안내합니다.
날씨 관련 기본 어휘 익히기
먼저 날씨를 표현할 수 있는 형용사와 명사를 알아야 합니다.
한국어에서는 날씨를 주로 형용사나 동사로 설명합니다.
맑다 | to be clear/sunny |
흐리다 | to be cloudy |
덥다 | to be hot |
춥다 | to be cold |
시원하다 | to be cool (pleasant) |
따뜻하다 | to be warm |
비가 오다 | to rain |
눈이 오다 | to snow |
바람이 불다 | to be windy |
습하다 | to be humid |
건조하다 | to be dry |
기본 날씨 문장 패턴
날씨를 말할 때 자주 쓰는 문장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재 날씨 표현
- “오늘 날씨가 맑아요.”
- “지금 비가 와요.”
- “밖에 눈이 와요.”
- “날씨가 춥네요.”
✅ 어제/내일 날씨 표현
- “어제는 정말 더웠어요.”
- “내일은 비가 온대요.”
- “주말에 눈이 온다고 했어요.”
📌 “-대요 / -다고 했어요”는 간접 화법으로, 날씨 예보나 다른 사람의 말을 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사계절 표현
한국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뚜렷합니다.
각 계절마다 자주 쓰이는 표현을 익혀 두면 회화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봄 (Spring)
- “날씨가 따뜻해졌어요.”
- “꽃이 피고 있어요.”
- “봄바람이 불어요.”
☀️ 여름 (Summer)
- “정말 덥고 습해요.”
- “에어컨 없으면 못 살겠어요.”
- “장마철이라 비가 자주 와요.”
🍂 가을 (Autumn)
- “하늘이 정말 맑아요.”
- “날씨가 선선해서 산책하기 좋아요.”
- “단풍이 들었어요.”
❄️ 겨울 (Winter)
- “기온이 영하예요.”
- “눈이 펑펑 와요.”
- “패딩 없으면 너무 추워요.”
실제 대화에서 자주 쓰는 날씨 표현
“오늘 정말 덥네요.” | 여름날 인사 겸 시작 |
“비가 오니까 우산 챙기세요.” | 상대방을 배려할 때 |
“미세먼지가 심해서 마스크 썼어요.” | 공기 질에 대한 대화 |
“내일 눈이 온대요. 조심하세요.” | 겨울 날씨 예보 전달 |
“날씨가 좋아서 기분이 좋아요.” | 감정 연결 표현 |
실생활 회화 예시
✔ 대화 1 – 친구와 길에서
A: 안녕! 오늘 날씨 진짜 좋다.
B: 그러게. 하늘도 맑고, 바람도 시원해.
A: 이런 날엔 밖에 나와야지~
✔ 대화 2 – 회사에서 아침 인사
A: 안녕하세요~ 오늘은 좀 쌀쌀하네요.
B: 맞아요. 갑자기 기온이 내려갔어요.
A: 감기 조심하세요!
✔ 대화 3 – 택시 안에서
기사님: 오늘 날씨가 참 흐리네요.
승객: 네, 아침엔 비도 조금 왔어요.
기사님: 내일도 비 소식 있대요. 우산 챙기세요.
날씨 관련 고급 표현도 알아두기
장마 | 장기간 비가 내리는 여름철 |
미세먼지 | fine dust (공기 질 악화 요인) |
한파 | 매우 추운 날씨 현상 |
열대야 | 밤에도 기온이 내려가지 않는 무더운 현상 |
기온이 오르다/내리다 | 온도가 올라가다/떨어지다 |
체감 온도 | 실제로 느끼는 온도 (체감 온도는 영하 10도예요) |
📌 뉴스나 일기예보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단어이므로, 알아두면 듣기 실력도 향상됩니다.
외국인이 자주 하는 실수
날씨가 좋아요 비 와요 | “날씨가 좋은데 비가 와요” 또는 “날씨가 좋은데도 비가 오네요” | 문장 연결 오류 |
오늘 맑은 날이에요 | “오늘 날씨가 맑아요” | 한국어는 ‘날씨가 + 형용사’ 구조 사용 |
눈 내려요 추워요 같이 | “눈이 내려서 추워요” |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표현 필요 |
마무리 – 날씨 표현은 일상 회화의 시작입니다
날씨에 대한 표현은 단순히 기온이나 기상 상태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작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 됩니다.
한국어 학습자라면, 오늘 소개한 표현들을 기반으로
매일 아침 날씨를 보고 말로 표현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은 맑아요. 하지만 아침에는 조금 쌀쌀했어요.”
이 정도 표현만으로도 자신 있는 한국어 일상 회화의 첫걸음을 뗄 수 있습니다.
'한국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괜찮아요’, ‘좀’, ‘그냥’ 등 간접 표현 해석 – 한국어의 진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문화적 언어 읽기 (0) | 2025.04.16 |
---|---|
한국인의 ‘눈치 문화’와 말투 – 문화와 언어가 함께 작동하는 한국어 이해하기 (0) | 2025.04.15 |
감정 표현 배우기 – 기쁨, 화남, 슬픔 등 감정을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말하는 법 (0) | 2025.04.15 |
시간을 묻고 대답하는 법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기본 회화 표현 정리 (0) | 2025.04.15 |
병원에서 필요한 한국어 표현 정리 – 외국인을 위한 진료 상황별 회화 가이드 (0) | 2025.04.14 |
전화할 때 자주 쓰는 한국어 표현 – 외국인을 위한 실전 회화 안내 (0) | 2025.04.14 |
길 물어볼 때 쓰는 한국어 표현 – 친절하게 묻고 정확하게 듣기 (1) | 2025.04.11 |
외국인을 위한 택시·버스·지하철에서 쓰는 한국어 표현 정리– 교통수단별 핵심 회화와 상황별 대응법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