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교육

한국어 숫자 읽기 – 고유어 수와 한자어 수 완전 구별하기

한국어 숫자 읽기 – 고유어 수와 한자어 수 완전 구별하기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반드시 겪는 혼란 중 하나는 ‘숫자 읽기’다.
한국어에는 두 가지 숫자 체계가 존재한다. 바로 고유어 수한자어 수이다.
하나의 언어 안에 숫자 체계가 두 개나 있다는 사실은 외국인 학습자에게 매우 낯설다.

예를 들어, 나이를 말할 때는 “스물다섯 살”, 시간은 “세 시 삼십 분”, 가격은 “오천 원”으로 표현된다.
모두 숫자지만, 사용하는 방식이 제각각이다.
이 글에서는 고유어 수와 한자어 수의 차이, 언제 어느 숫자를 써야 하는지, 그리고 자주 틀리는 예문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본다.

 

고유어 수와 한자어 수란?

한국어 숫자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구분                            이름                                                      숫자                                      체계예시
✅ 고유어 수 Native Korean numbers 순우리말 하나, 둘, 셋, 넷, 다섯…
✅ 한자어 수 Sino-Korean numbers 중국 한자에서 유래 일, 이, 삼, 사, 오…

두 숫자 체계는 숫자 자체가 다르고, 사용되는 문맥도 다르다.

 

고유어 수 – 1부터 99까지만 존재

고유어 수는 한국 고유의 숫자 체계로, 대부분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 사용된다.
단, 100 이상부터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 한자어 수로 대체된다.

🔹 기본 고유어 수:

 숫자                                                                              고유어 수
1 하나
2
3
4
5 다섯
6 여섯
7 일곱
8 여덟
9 아홉
10

➡️ 그 이후는 조합형태:

  • 11: 열하나
  • 15: 열다섯
  • 20: 스물
  • 21: 스물하나
  • 30: 서른
  • 99: 아흔아홉

💡 특징:

  • 단위를 함께 쓸 때 형태가 축약됨
    예: 하나 → 한 개, 둘 → 두 명, 셋 → 세 개, 넷 → 네 장

 

 한자어 수 – 1부터 무한대 가능

한자어 수는 한자에서 유래된 숫자이며, 수학적 계산, 시간, 나이, 날짜 등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

🔹 기본 한자어 수:

 숫자                                                                                                                                 한자어 수
1
2
3
4
5
6
7
8
9
10
100
1,000
10,000

➡️ 조합 가능:

  • 23: 이십삼
  • 100: 백
  • 10,000: 만
  • 120,000: 십이만

💡 특징:

  • 시간, 날짜, 전화번호, 주소 등 정확한 정보 표현에 사용

 

고유어 수 vs 한자어 수 – 언제 뭐 써야 할까?

 상황                                                          사용하는 숫자                  체계예시
나이 (말로 할 때) 고유어 수 스물다섯 살
시간 (시) 고유어 수 세 시 (3시)
시간 (분/초) 한자어 수 삼십 분, 십오 초
날짜 한자어 수 십이월 삼일 (12월 3일)
전화번호 한자어 수 공일공-사삼이오-칠팔구구
가격 한자어 수 오천 원
사람 수 고유어 수 두 명, 세 명
개수 고유어 수 네 개, 열 개
건물 층수 한자어 수 오 층, 십오 층
페이지 수 한자어 수 이십 쪽

 

외국인이 자주 틀리는 예시 TOP 3

(X) 잘못: “삼 개 주세요.”

 ✅ 올바른 표현: “세 개 주세요.
   → 개수는 고유어 수 + 단위 명사 조합 사용

(X) 잘못: “지금 오 시 삼십삼 분이에요.”

 ✅ 올바른 표현: “지금 다섯 시 삼십삼 분이에요.
   → 시는 고유어 수, 분은 한자어 수!

(X) 잘못: “내 나이는 이십다섯 살입니다.”

 ✅ 올바른 표현: “스물다섯 살입니다.
   → 나이는 고유어 수로 말하는 게 자연스럽다

 

꿀팁: 고유어 수 + 단위명사 세트 외우기

  고유어 수                      + 사람                                         + 개                                         + 마리
하나 한 명 한 개 한 마리
두 명 두 개 두 마리
세 명 세 개 세 마리
네 명 네 개 네 마리
다섯 다섯 명 다섯 개 다섯 마리

🎯 고유어 수는 단위 명사랑 같이 외우면 훨씬 쉬움!

 

마무리 – 숫자를 알면 한국어가 보인다

한국어 숫자 체계는 처음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고유어 수는 사람·사물 중심, 한자어 수는 시간·정보 중심이라는 패턴을 이해하면 쉽게 정리된다.
두 숫자 체계를 자연스럽게 쓸 수 있게 되면,
한국어 말하기와 듣기 실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걸 느끼게 될 것이다.